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친척 간 올바른 호칭 사용법

by real tips📝 2025. 1. 25.

명절에 알아두면 유용한 친척 간 올바른 호칭 사용법

명절은 가족과 친척들이 한자리에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특별한 날입니다.

오랜만에 만난 친척들 반갑지만 어떻게 불러야 될지 몰라서 당황하시거나 얼버무린 신적 있으시죠?

요즘은 예전만큼 왕래가 많지 않다 보니 호칭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글이 올바른 호칭을 사용하여 즐거운 명절 분위기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한복을 입은 부부와 어린아이가 큰 절하는 모습
친척 간 올바른 호칭 사용법


1. 부모님의 형제자매 호칭: 아버지와 어머니 쪽 구분하기

  • 아버지 쪽:
    • 큰아버지: 백부(伯父)
    • 큰어머니: 백모(伯母)
    • 작은아버지: 숙부(叔父)
    • 작은어머니: 숙모(叔母)
    • 삼촌: 숙부(叔父)
  • 어머니 쪽:
    • 외삼촌: 외숙(外叔)
    • 외숙모: 외숙부인(外叔夫人)
    • 이모
    • 이모부

2. 형제자매 및 배우자 호칭: 혼동 없이 정리하기

  • 형제자매 간 호칭:
    • 오빠의 아내: 새언니 또는 올케
    • 여동생의 남편: 매제
    • 남동생의 아내: 제수씨
  • 배우자의 형제자매 호칭:
    • 배우자의 아버지: 장인어른/시아버지
    • 배우자의 어머니: 장모님/시어머니
    • 배우자의 형: 처남/시형님
    • 배우자의 누나: 처형/형님

3. 조부모 세대 및 그 형제자매 호칭: 나이에 따른 구분

  • 할아버지의 형: 큰할아버지
  • 할아버지의 동생: 작은할아버지
  • 할머니의 형제자매: 할머니 또는 할아버지

4. 기타 친척 관계와 호칭 팁

  • 사돈: 자녀 결혼으로 연결된 양가
  • 외가: 어머니 쪽 친척 전체를 의미
  • 시가: 남편 쪽 친척 전체를 의미
  • 처가: 아내 쪽 친척 전체를 의미
  • 조카: 형제자매의 자녀를 부를 때는 조카로 통칭하되, 성별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명절에 호칭을 정확히 사용하는 것은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가족 간의 화목한 분위기를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명절에는 미리 호칭 공부하셔서 자신 있게 불러보세요.

반응형
※ 블로그 이용안내: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