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연말정산 주택자금 관련 소득·세액공제 안내
올해 연말정산에서는 주택자금 관련 소득·세액공제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아래 글에서는 장기주택저당차입금(주택담보대출) 이자상환액과 월세 세액공제의 주요 변경 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많은 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조건 | 공제 가능 금액 |
---|---|
기준시가 6억 원 이하 주택 구매 | 연 2,000만 원까지 |
예: 은행에서 3억 원 대출, 이자 1,500만 원 → 전액 소득공제 가능
2. 월세 세액공제
연봉 조건 | 공제율 | 최대 공제 금액 |
---|---|---|
연봉 5,500만 원 이하 | 월세의 17% | 연간 최대 170만 원 |
연봉 5,500만 원 초과 ~ 8,000만 원 이하 | 월세의 15% | 연간 최대 150만 원 |
예: 총 급여 8,000만 원, 월세 100만 원 → 연간 180만 원 중 15% 공제, 최대 150만 원까지
3. 대환 대출(갈아타기 대출) 공제 가능
대출을 갈아타도 원리금 직접 상환 시 소득공제 가능. 첫 해나 마지막 해 원금 상환액이 적더라도 비거치식 분할 상환 방식으로 간주됩니다.
4. 공제 대상이 아닌 경우
- 1 주택 이상 보유자: 월세액 공제 불가능
- 회사 지원금으로 받은 대출: 공제 대상에서 제외
5. 주택자금 공제를 활용하는 팁
- 공제 요건 확인: 기준시가와 대출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 연말정산 자료 준비: 대출 원리금 상환내역서, 월세 납부 증빙서류 등을 준비하세요.
- 국세청 사이트 활용: 연말정산 종합안내나 AI 상담 서비스로 상세 정보 확인 가능.
주택자금 소득·세액공제는 많은 근로자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번 연말정산에서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요건과 세부사항을 꼼꼼히 확인하고 준비하세요.
'13월의 월급'을 제대로 활용하여 경제적 여유를 누릴 수 있는 기회입니다!
반응형
'부동산,경제 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권, 임차권 뭐가 달라요? (0) | 2025.01.23 |
---|---|
전세금을 지키는 첫걸음, 전세권 설정 이렇게 하세요 (0) | 2025.01.22 |
상가 권리금과 원천징수, 꼭 알아야 할 세금 이야기 (0) | 2025.01.22 |
설 연휴 집 비우기 전,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7가지 (1) | 2025.01.21 |
부동산 세금 완벽 가이드: 사고, 보유하고, 팔 때 꼭 알아야 할 세금 (0) | 2025.01.20 |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로 상조상품 조회, 이렇게 쉽게! (0) | 2025.01.20 |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디딤돌 대출,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5.01.19 |
상속인에게 보증금 반환 시 꼭 알아야 할 5가지 유의점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