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경제 관련정보

결혼과 상속으로 인한 비과세 요건 정리

by real tips📝 2025. 2. 21.

 

 

걸혼과 상속으로 인한 비과세 특례 알아보기-행복한 신혼부부가 코를 맞대고 있는 모습 이미지
결혼과 상속 비과세 특례

 

결혼으로 인한 혼인합가 비과세, 꼭 알아야 할 6가지

결혼 후 신혼집 마련이나 주택 상속 등으로 집이 두 채 이상이 되는 경우, 세금 걱정이 앞서게 됩니다. 하지만 혼인합가 비과세 제도를 잘 활용하면, 불필요한 양도소득세 부담 없이 절세가 가능합니다. 오늘은 혼인합가로 주택 수가 늘어났을 때 받을 수 있는 비과세 혜택과 주의사항을 정리해 드릴게요.

📌 혼인합가 비과세 핵심 요건 요약

상황 비과세 기준 유의사항
결혼으로 주택 2채 보유 혼인 신고 후 5년 이내 1채 매도 시 비과세 혼인신고일 기준
1주택자와 2주택자 결혼 2채 중 하나는 비과세, 다른 하나는 과세 2년 이상 보유 및 거주 필요
1주택자 + 분양권 보유자 결혼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적용 분양권은 주택으로 간주
상속 주택 2채 이상 보유 가장 오래 보유·거주 주택 1채 비과세 지분·거주·연령 순 판단

💡 꼭 알아야 할 6가지 전략

  1. 혼인신고일 기준 5년 이내 매도
    결혼으로 인해 2 주택자가 된 경우, 혼인 신고일 기준으로 5년 이내 1채를 처분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1 주택 + 2 주택 혼인 시 절세 전략
    총 3주택이 되는 경우, 한 채는 과세 대상이 되지만 나머지 한 채는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면 면세가 가능합니다.
  3. 분양권 보유자와 혼인 시 유의
    분양권은 주택으로 간주되므로, 일시적 2 주택 요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별도의 혜택은 없습니다.
  4. 거주요건 합산 가능
    혼인 전 단독 거주 기간과 혼인 후 부부 공동 거주 기간을 합산해 2년 이상 거주 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5. 상속 주택에 대한 특례 적용
    상속으로 인해 2채 이상이 된 경우, 가장 오래 보유하거나 실거주한 주택 한 채는 비과세로 인정됩니다.
  6. 공동 상속 시 지분율 우선 적용
    동일 지분일 경우 거주자 또는 연장자가 주택 소유자로 간주되어 주택 수 계산 시 기준이 됩니다.

Q&A – 많이 묻는 질문

  • Q1. 결혼 후 5년이 지나면 혜택이 없어지나요?
    A. 네. 5년이 초과되면 혼인합가 비과세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Q2. 분양권은 혜택 대상인가요?
    A. 아닙니다. 분양권은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은 가능하나, 혼인합가 비과세 혜택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Q3. 공동상속을 받은 경우 모두 세금이 나올까요?
    A. 아닙니다. 가장 큰 지분자 1인을 기준으로 주택 수가 계산됩니다.

📘 마무리 – 혼인합가 비과세, 놓치지 마세요!

혼인으로 인해 2주택 이상이 되는 경우에도 혼인합가 비과세 혜택을 받으면 세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건이 까다롭고 실수하기 쉬우므로 혼인신고일, 보유기간, 거주기간을 꼼꼼히 체크하세요.

상속, 분양권, 공동상속 등 변수가 많기 때문에 전문가 상담을 통해 내 상황에 맞는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안전합니다.

지금 바로 점검해 보시고, 행복한 부자 되세요!

반응형
※ 블로그 이용안내: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연락처